-
흡연ㆍ음주
스트레스 -
고혈압
-
동맥경화
-
고지혈증
-
당뇨ㆍ비만
치료법 | 상병 및 시술 | |
---|---|---|
급성기 치료 | 혈관이 막힌 뇌경색인 경우 |
발생한 지 3시간 이내인 경우엔 정맥을 통하거나 동맥을 통하여 뇌혈관을 막고 있는 혈전을 약물로 녹이는 혈전용해제 투여를 시행합니다. |
혈관이 터진 뇌출혈인 경우 |
출혈 부위와 원인, 출혈량 등 환자의 상태에 따라 약물 또는 수술적 치료를 시행합니다. | |
중재적 방사선 시술 | 혈관 성형술과 스텐트 삽입술 |
뇌혈관이 심하게 좁아져 있는 경우 혈관 조영술을 이용한 풍선 확장술을 통하여 좁아진 혈관을 넓혀준 후 스텐트라는 장치를 넣어 다시 좁아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입니다. |
동맥류 코일 | 혈관 조영술로 혈관에 꽈리가 형성된 동맥류의 위치를 찾은 다음 동맥류 안에 특수한 코일을 넣어 동맥류 안의 혈액을 굳게 하여 신속하게 동맥류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 |
수술적 치료 | 좁아진 경동맥을 수술을 통해 제거하는 경동맥 내막절제술, 뇌압을 낮춰주는 뇌감압술, 뇌의 바깥쪽에 있는 혈관을 뇌 안쪽 혈관과 연결하여 뇌 안쪽으로 가는 피의 양을 늘려주는 뇌혈관 우회술, 동맥류를 수술을 해 제거해주는 동맥류 클립 등의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 | |
약물 치료 | 항응고제, 항혈소판제, 원인질환 조절 약물을 환자의 상태에 따라 처방하게 됩니다. |
ㆍ 혈압조절이 가장 중요하며 최고 혈압뿐만 아니라 최저 혈압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ㆍ 심장병, 당뇨병과 고지혈증 치료를 해서 뇌졸중을 예방합니다.
ㆍ 폭음을 피하고 금연을 하도록 합니다. 특히 하루 10개피 이상의 흡연은 위험합니다.
ㆍ 평상 적절한 체중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규칙적인 운동과 식이조절을 합니다.
ㆍ 염분 섭취를 줄이고 당분이 많이 들어 있는 음식은 피하도록 합니다.
ㆍ 충분히 수면을 취하고 일상생활에서 스트레스를 잘 해소하도록 합니다.
ㆍ 겨울철 추운 곳에서 오랜 시간을 있거나 갑자기 추운 곳으로 나오는 것을 피합니다.
특히 고혈압이나 비만한 고령자는 화장실, 목욕탕 등 급격한 기온변화나 혈압변화를 가져오는 곳에서 특별히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이는 추우면 혈관이 수축하여 혈압을 높여 혈관이 터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갑작스런 마비, 발음이 부정확해 지거나 다른 사람의 말을 못 알아들을 경우, 어지럼증으로 비틀거림, 한쪽 또는 양쪽 눈이 갑자기 침침해지거나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 전과 다른 두통 등의 뇌졸중 증상이 나타났을 때에는 지체 없이 뇌졸중 전문의가 있는 병원으로 가야 합니다.
이는 뇌졸중으로 인한 타격을 최소화시키는데 결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아무리 늦어도 발병 후 3시간 이내에 병원에 도착하도록 합니다.